고장 난 드라이기, 안 쓰는 믹서기 등 소형가전 무료수거가 가능하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더 이상 돈 내고 스티커 살 필요 없는, 가장 쉬운 폐기 및 버리기 방법을 제가 직접 알아봤습니다.
소형가전 무료수거, ‘이것’만 기억하세요!
“이 작은 걸 버리는데도 돈을 내야 하나?” 하고 고민했던 경험, 다들 있으시죠? 다행히 높이 1m 미만의 소형가전제품은 폐기물 스티커 없이 무료로 배출할 수 있도록 법이 바뀌었습니다.
전자레인지, 선풍기, 청소기, 전기밥솥 등 대부분의 작은 가전제품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가장 쉬운 소형가전 버리기 방법 3가지
소형가전 무료수거를 이용하는 버리기 방법은 내가 사는 곳의 형태에 따라 조금씩 다릅니다.
1. 아파트/공동주택: 지정된 수거함에 쏙!
- 가장 편리한 방법: 대부분의 아파트 단지 내에는 ‘소형 폐가전 전용 수거함’이 따로 마련되어 있습니다. 분리수거장에 있는 녹색 그물망이나 지정된 함에 언제든지 배출하면 끝입니다.
2. 일반주택/빌라: 재활용품 버리는 날 함께!
- 수거함이 없다면: 우리 동네 ‘재활용품 배출일’에 맞춰, 내용물이 보이는 투명한 봉지에 소형가전을 담아 내 집 앞에 내놓으면 됩니다. 일반 재활용품과 함께 수거해 갑니다.
3. 양이 많다면: ‘무상 방문수거’ 신청!
- 5개 이상일 때: 이사나 대청소로 버릴 소형가전이 5개 이상 쌓였다면, ‘폐가전 무상방문수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신청 방법: 전화(☎1599-0903)나 인터넷(www.15990903.or.kr)으로 예약하면, 수거 기사님이 직접 집으로 방문하여 무료로 가져갑니다.
어떤 제품이 소형가전일까? (대상 품목)
구분 | 주요 소형가전 품목 |
주방가전 | 전자레인지, 전기밥솥, 믹서기, 커피메이커, 에어프라이어, 정수기 |
생활가전 | 청소기, 선풍기, 다리미, 가습기/제습기, 전기히터, 헤어드라이기 |
컴퓨터류 | 컴퓨터 본체, 모니터, 프린터, 노트북, 스캐너 |
기타 | 휴대폰, 오디오, 가정용 오락기, 전자사전 등 |
무료 수거가 안 되는 경우도 있나요?
- 원형 훼손 제품: 냉장고의 냉각기나 세탁기의 모터를 임의로 분해하는 등 제품의 원형이 심하게 훼손된 경우에는 수거가 거부될 수 있습니다.
- 가전이 아닌 제품: 나무로 된 스피커, 전기장판, 옥매트 등은 가전제품이 아닌 대형 폐기물로 분류되어 스티커를 붙여 버려야 합니다.
- 5개 미만 방문수거 요청: 방문수거 서비스는 소형가전이 5개 이상일 때만 이용 가능합니다.
마무리하며
지금까지 소형가전 무료수거 및 버리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핵심은 우리 집이 아파트라면 단지 내 수거함을, 일반주택이라면 재활용품 배출일을 이용하고, 버릴 것이 5개 이상 쌓이면 무상 방문수거를 신청하는 것입니다.
오늘 알려드린 꿀팁으로 더 이상 불필요한 비용과 시간 낭비 없이, 편리하고 환경을 생각하는 폐가전 배출을 실천하시길 바랍니다.
자주묻는 질문 (FAQ)
소형가전 무료수거 시, 안에 들어있는 부속품도 같이 버려도 되나요?
네, 괜찮습니다. 예를 들어, 청소기의 먼지 봉투나 프린터의 잉크 카트리지 등은 따로 분리하지 않고 소형가전 무료수거를 통해 그대로 배출해도 함께 처리됩니다.
5개 미만인데, 방문수거를 이용할 다른 방법은 없나요?
네, 있습니다. 대형가전(냉장고, 세탁기, TV 등)을 버릴 때, 소형가전도 함께 배출하면 개수와 상관없이 모두 무료로 수거해 갑니다.
제가 버린 소형가전은 어떻게 폐기되나요?
수거된 소형가전은 리사이클링 센터로 옮겨져, 친환경적인 폐기 절차에 따라 철, 구리, 플라스틱 등 유용한 자원으로 재활용됩니다. 따라서 올바른 버리기 방법을 따르는 것은 중요한 자원 순환 활동입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