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이 불편한 장애인, 임산부, 노인분들을 위한 바우처택시! 택시 요금 걱정을 덜어주는 이 고마운 제도의 신청 방법과 혜택을 제가 직접 알아봤습니다.
택시비 걱정 끝! 지금 바로 신청하고 이동의 자유를 누리세요.
바우처택시, 어떤 제도일까요?
‘바우처택시’는 장애인 콜택시의 긴 대기 시간을 보완하고, 임산부나 어르신 등 교통약자의 이동 편의를 돕기 위해, 일반 택시를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요금의 일부를 지자체에서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많은 분들이 장애인 콜택시와 헷갈려 하시는데, 바우처택시는 별도의 특장 차량이 아닌, 우리가 평소 이용하는 일반 중형택시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
서울 거주 임산부라면? 70만원 교통 포인트 바우처를 놓치지 마세요!
누가 지원받을 수 있나요? (대상별 안내)
바우처택시는 장애인, 임산부, 노인 등 대상별로 지원 내용과 신청 자격이 조금씩 다릅니다.
1. 바우처택시 장애인
- 지원 대상: (서울시 기준) 비휠체어 이용 중증장애인 (시각, 지체, 뇌병변, 신장, 자폐 등)
- 지원 내용: 택시 요금의 70% 지원 (본인부담 30%)
- 핵심: 휠체어를 이용하지 않는 중증장애인이 주요 대상이며, 기존 장애인콜택시에 등록된 분들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
2. 바우처택시 임산부 (서울엄마아빠택시)
- 지원 대상: 서울시에 거주하는 모든 임산부 (임신 3개월 ~ 출산 후 3개월)
- 지원 내용: 1인당 70만원 교통 포인트 바우처 지급
- 사용처: 택시뿐만 아니라 버스, 지하철, 주유소 등에서도 사용 가능
3. 바우처택시 노인
- 지원 대상: 만 65세 이상 어르신 중 대중교통 이용이 어려운 분
- 특징: 지자체별로 정책이 상이하여, 거주지 주민센터를 통해 지원 여부 및 내용을 확인해야 합니다.
가장 중요한 신청 방법
바우처택시 신청은 대상별로 지정된 온라인 사이트나 주민센터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 장애인 바우처택시 신청 방법:
- 신청 장소: 주소지 관할 동주민센터 방문 신청
- 필수 서류: 신청서, 개인정보동의서, 신한장애인복지카드 사본, 장애인증명서
- 임산부 바우처택시 신청 방법 (서울시):
- 온라인 신청: ‘몽땅정보 만능키’ 사이트에서 온라인으로만 신청 가능
- 필수 절차: 신청 전, ‘서울맘케어시스템’에서 온라인 교육(약 15분)을 반드시 이수해야 합니다.
마무리하며
지금까지 교통약자를 위한 바우처택시 제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몸이 불편해서, 혹은 아이를 가져서 외출이 망설여졌던 분들에게 정말 단비 같은 소식이죠. 내가 지원 대상에 해당되는지 꼼꼼히 확인하시고, 오늘 알려드린 신청 방법을 통해 이동의 불편함을 조금이나마 덜어내시길 바랍니다.
자주묻는 질문 (FAQ)
바우처택시 장애인 지원은 휠체어 이용자도 받을 수 있나요?
아니요. 바우처택시 장애인 지원은 일반 중형택시를 이용하는 제도이므로, 휠체어 탑승 설비가 없습니다. 따라서 비휠체어 이용 장애인이 주요 대상이며, 휠체어 이용자분들은 기존의 ‘장애인콜택시’를 이용하셔야 합니다.
바우처택시 임산부 지원(서울엄마아빠택시)은 택시비로만 써야 하나요?
아닙니다. 바우처택시 임산부 지원금은 70만원의 교통 포인트 형태로 지급되어, 택시뿐만 아니라 버스, 지하철, KTX, 자가용 주유비 등 다양한 교통 관련 사용처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큰 장점입니다.
바우처택시 노인 지원은 전국 공통인가요?
아니요. 바우처택시 노인 지원은 서울, 울산 등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 자체적으로 시행하는 사업입니다. 따라서 내가 사는 지역의 지원 여부와 신청 방법은 반드시 거주지 관할 주민센터를 통해 확인해야 합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