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개인예산제 시범사업 신청 방법(2025년 최신)

장애인 개인 예산제 썸네일

마감까지 단 10일! 나에게 꼭 필요한 서비스를 국가 예산으로 직접 고를 기회, 놓치시겠어요? 서울시 장애인 주목! 2025년 장애인 개인예산제 시범사업 신청이 6월 20일 마감됩니다. 최대 240만원 예산을 받아 나에게 꼭 필요한 서비스를 직접 선택하는 새로운 복지! 신청 자격과 방법을 지금 바로 확인하세요.

늦었다고 고민하지 마세요! 추가모집도 고려해보세요”

2025년 장애인 개인예산제 신청 자격

장애인 개인예산제는 기존의 정해진 서비스가 아닌, 장애인 당사자가 주어진 예산 안에서 필요한 서비스를 직접 선택하는 혁신적인 맞춤형 복지 제도입니다. 이번 2차 시범사업은 서울시 거주자를 대상으로 진행됩니다.

  • 거주지: 서울시에 거주
  • 나이: 만 18세 이상 ~ 만 65세 미만
  • 장애 유형: 지체, 뇌병변, 시각, 청각, 발달장애인 중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

⚠️ 마감 임박! 2025년 6월 20일(금)까지 신청해야 합니다! 정부에서 시행하는 개인예산제 시범사업에 이미 참여하셨다면, 이번 서울형 사업에는 중복 신청이 불가능하니 유의하세요.

장애인 개인예산제 신청 방법 (온라인/방문)

신청 기간이 얼마 남지 않았으니 서두르세요! 장애인 개인예산제 신청은 온라인 이메일 접수와 현장 방문 접수 두 가지 방법으로 가능합니다.

서울형 장애인 개인예산제

1) 온라인 신청 (이메일 접수)

  • 신청서를 작성하여 한국장애인재단 공식 이메일(research@kfpd.org)로 제출합니다.
  • 가장 빠르고 간편한 방법입니다.

2) 현장 접수

  • 직접 방문하여 신청서를 제출할 수도 있습니다.
  • 접수처: 한국장애인재단 또는 서울시 내 8개 협력 지원기관 (글 하단 문의처 참고)

💡 대리 신청 가능! 본인이 직접 신청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면 가족이나 후견인이 대신 신청할 수 있습니다.

최대 240만원 절대 놓치지 마세요”

최대 240만원, 어디에 사용할 수 있나요? (지원 내용)

선정된 참여자에게는 6개월간 월 최대 40만 원, 총 240만 원 한도 내에서 개인별 예산이 지원됩니다. 이 예산으로 아래 6개 영역에서 기존 제도로는 지원받기 어려웠던 나만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지원 영역
    1. 일상생활: 활동지원사가 할 수 없는 특수 가사 지원 등
    2. 사회생활: 비급여 보조기기 구매 및 수리, 동호회 활동비 등
    3. 취·창업 활동: 면접용 정장 대여, 창업 컨설팅 등
    4. 자기개발: 자격증 취득을 위한 수강료, 도서 구입비 등
    5. 안전: 낙상 방지용 안전바 설치, 비상벨 설치 등
    6. 주거 환경개선: 맞춤형 생활용품 제작, 경사로 설치 등

⚠️ 지원 불가 항목! 장애인 활동지원처럼 기존에 받던 서비스와 중복되거나, 식료품·생필품 구매, 병원비, 단순 취미·오락 활동에는 사용할 수 없으니 계획을 잘 세워야 합니다.

장애인 개인예산제 신청 방법

정해진 틀에서 벗어나 나에게 꼭 필요한 서비스를 직접 설계할 수 있는 기회, 장애인 개인예산제! 마감 기한을 놓치지 말고 지금 바로 신청해서 나다운 삶을 위한 첫걸음을 내딛으시길 바랍니다.

자주묻는 질문 (FAQ)

제가 직접 신청하기 어려운데, 가족이 대신 신청해도 되나요?

네, 가능합니다. 본인이 직접 장애인 개인예산제 신청 서류를 작성하고 제출하기 어려운 경우, 주민등록상 함께 거주하는 가족이나 후견인, 담당 사회복지사 등이 대리인으로서 신청을 도와줄 수 있습니다.

지원금으로 컴퓨터나 자격증 강의를 들을 수도 있나요?

네, 목적에 따라 가능합니다. 만약 취업 준비나 재택근무 등 ‘취·창업 활동’ 또는 ‘자기개발’을 위해 컴퓨터가 필요하다고 개인예산 계획서에 명시하고 심의를 통과하면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단순 게임이나 영상 시청 목적의 컴퓨터 구매는 어렵습니다.

신청하면 모두 지원받을 수 있나요?

아니요, 이번 사업은 정해진 인원을 선발하는 ‘시범사업’입니다. 따라서 2025년 장애인 개인예산제에 신청하더라도, 장애 유형, 시급성, 기존 서비스 이용 현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심사를 통해 최종 참여자를 선정하게 됩니다.

댓글 남기기

댓글 남기기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