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강원도 육아기본수당이 더 강력해졌다는 소식 들으셨나요? 소득 기준 없이 월 최대 70만원까지 지원하는 이 꿀 같은 혜택의 대상과 금액, 그리고 가장 쉬운 신청 방법까지 제가 직접 알아봤습니다.
강원도 육아기본수당, 어떤 제도일까요?
‘강원도 육아기본수당’은 저출산 문제를 극복하고 아이 키우기 좋은 환경을 만들기 위해, 강원특별자치도가 소득이나 재산과 상관없이 도내 모든 영유아 가정에 매월 현금을 지원하는 전국 최고 수준의 보편적 복지 제도입니다.
많은 분들이 정부의 ‘부모급여’나 ‘아동수당’과 헷갈려 하시지만, 이 제도는 강원도에서만 추가로 지급하는 독자적인 지원금입니다.
누가 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 (대상 및 금액)
강원도 육아기본수당의 대상이 되는 조건은 간단합니다.
- 지원 대상: 신청일 기준으로, 부모와 아동 모두 강원특별자치도에 주민등록을 두고 실제 거주하는 만 0세 ~ 만 7세(83개월) 아동
- 지원 금액 (2025년 기준):
아동 연령 | 월 지급 금액 |
만 0세 ~ 만 1세 (0~23개월) | 70만 원 |
만 2세 ~ 만 7세 (24~83개월) | 50만 원 |
💡 부모급여, 아동수당과 중복 가능!
정부에서 지급하는 부모급여(0세 월 100만원, 1세 월 50만원)와 아동수당(월 10만원)을 받으면서, 강원도 육아기본수당까지 모두 중복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신청 방법
강원도 육아기본수당 신청 방법은 출생신고 시 한 번만 하면 만 7세까지 계속 지원되며,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 가능합니다.
1) 온라인 신청 (복지로)
- ‘복지로’(www.bokjiro.go.kr) 또는 ‘정부24’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 ‘행복출산 원스톱 서비스’ 메뉴를 통해 출생신고와 함께 신청하거나, ‘강원도 육아기본수당’을 검색하여 단독으로 신청합니다.
- 안내에 따라 신청서를 작성하고 구비서류를 제출하면 완료됩니다.
2) 방문 신청 (주민센터)
- 신청 장소: 아동의 주민등록상 주소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
- 신청 방법: 출생신고 시 ‘행복출산 원스톱 서비스’ 신청서 한 장만 작성하면, 출산지원금, 아동수당, 전기료 감면 등 다른 혜택과 함께 자동으로 신청됩니다.
신청 시 꼭 챙겨야 할 서류
- 사회보장급여 신청서 (주민센터 비치)
- 신분증 (방문 신청 시)
- 수당을 지급받을 통장 사본
- (필요시) 가족관계증명서
마무리하며
지금까지 2025년 강원도 육아기본수당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소득 기준 없이 모든 아이에게 월 최대 70만원을 지원하는 전국 최고 수준의 혜택인 만큼, 강원도에서 아이를 키우는 부모님이라면 절대 놓쳐서는 안 될 필수 정보입니다.
오늘 알려드린 신청 방법을 참고하여, 출생신고와 함께 잊지 말고 꼭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자주묻는 질문 (FAQ)
강원도 육아기본수당은 신청 기간이 따로 있나요?
강원도 육아기본수당은 별도의 신청 기간 없이 연중 상시 신청이 가능합니다. 다만, 혜택을 놓치지 않으려면 출생일로부터 60일 이내에 신청해야 출생 월부터 소급하여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아이가 어린이집에 다녀도 지원 금액이 줄어드나요?
아니요. 강원도 육아기본수당의 금액은 아이의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이용 여부와 상관없이, 모든 대상 아동에게 동일하게 지급됩니다.
강원도로 이사 가면 바로 신청할 수 있나요?
아니요. 강원도 육아기본수당은 부정수급 방지를 위해, 타 시·도에서 전입한 경우 전입일로부터 180일(6개월)이 경과해야 신청 자격이 주어집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