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태료 이의신청, 60일 안에 안 하면 끝! (속도위반, 주정차)

과태료 이의신청 방법

속도위반이나 주정차위반으로 억울하게 과태료 고지서를 받아보셨나요? 무조건 내지 마시고, 60일 이내과태료 이의신청으로 구제받을 수 있습니다. 제가 직접 알아본 내용을 바탕으로 이의신청 방법과 성공 꿀팁까지 쉽게 알려드릴게요.

내가 언제 단속됐지? 지금 바로 이파인에서 내 위반 내역부터 확인하세요.

과태료 이의신청, ‘이것’만 기억하세요!

과태료 이의신청은 ‘질서위반행위규제법’에 따라 보장된 국민의 정당한 권리입니다. 이의신청을 하는 즉시, 행정청이 부과한 과태료 처분은 효력이 정지되며, 사건은 관할 법원으로 넘어가 정식 재판(비송사건)을 받게 됩니다.

1. 속도위반 과태료 이의신청 방법

속도위반 과태료 이의신청은 단속 주체인 ‘경찰서’를 대상으로 합니다.

  • 신청 기한: 고지서를 받은 날로부터 60일 이내
  • 신청 방법:
    1. 온라인: 경찰청교통민원24(이파인) 홈페이지 접속 → [교통범칙금·과태료] → [이의신청] 메뉴에서 온라인 접수 (가장 간편!)
    2. 방문/우편: 과태료를 부과한 관할 경찰서 민원실에 ‘과태료 이의신청서’를 작성하여 서면 제출
  • 인정 가능 사유:
    • 단속 장비의 명백한 오작동 (증거 필요)
    • 응급환자 이송, 차량 고장 등 ‘긴급피난’에 해당하는 경우
    • 단속 고지판이 없거나 훼손되어 인지가 불가능했던 경우

2. 주정차위반 과태료 이의신청 방법

주정차위반 과태료 이의신청은 단속 주체인 ‘관할 구청(시청)’을 대상으로 합니다.

  • 신청 기한: 고지서를 받은 날로부터 60일 이내
  • 신청 방법:
    1. 방문/우편/팩스 (가장 확실): 관할 구청 교통과(또는 주차관리과)에 ‘과태료 이의신청서’를 작성하여 서면 제출 (등기우편 추천)
    2. 온라인: 정부24 또는 각 지자체 홈페이지의 ‘주정차위반 이의신청’ 메뉴 이용
  • 인정 가능 사유:
    • 응급환자 이송, 차량 고장, 도난 등 부득이한 사유
    • 단속 시점에 이미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해 있었던 경우 (블랙박스 증거)
    • 주차공간(예: 흰색 실선)에 정상 주차했으나 오인 단속된 경우

이의신청 시 꼭 챙겨야 할 서류

과태료 이의신청의 핵심은 ‘증거’입니다. 나의 주장을 뒷받침할 객관적인 서류가 없으면 기각될 확률이 높습니다.

  • 필수 서류:
    • 과태료 이의신청서 (자유 양식 또는 관공서 비치 양식)
    • 과태료 부과 고지서 사본
    • 신분증 사본
  • 주요 증빙 서류:
    • (공통) 블랙박스 영상, CCTV 영상, 사진
    • (응급상황) 병원 진료확인서, 응급실 기록지
    • (차량 고장) 견인 확인서, 정비소 수리 내역서

마무리하며

지금까지 속도위반주정차위반 과태료 이의신청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핵심은 억울한 상황이라면 포기하지 말고, 60일 이내에 객관적인 증빙 서류를 갖춰 정당하게 이의신청하는 것입니다. 오늘 알려드린 정보로 나의 소중한 권리를 되찾으시길 바랍니다.

자주묻는 질문 (FAQ)

과태료 이의신청 기간(60일)이 지나면 어떻게 되나요?

이의신청 기간인 60일이 지나면, 해당 과태료 부과 처분이 확정되어 더 이상 불복할 수 없습니다. 이 경우, 즉시 납부해야 하며 미납 시 가산금이 부과되고 재산이 압류될 수 있습니다.

이의신청을 하면 과태료가 더 많이 나올 수도 있나요?

아니요. 이의신청을 하면 사건은 법원으로 넘어갑니다. 법원에서 재판 후 이의신청이 기각되더라도, 기존에 부과된 과태료 금액보다 더 많은 금액이 부과되지는 않습니다.

댓글 남기기

댓글 남기기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