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간 5천만원 목돈 만들기로 화제인 청년도약계좌! 납입 금액 변경 방법과 소득 기준별 정부기여금, 그리고 금액별 이자 계산까지! 제가 직접 알아본 내용을 바탕으로 쉽게 추천해 드릴게요.
2025년 12월 가입 마감! 지금 바로 내 예상 만기 수령액을 확인하세요.
청년도약계좌 금액 변경 방법
“이번 달은 여유가 없는데, 금액 변경 가능한가요?”
네, 가능합니다! 청년도약계좌는 매월 1천원부터 70만원까지 자유롭게 납입하는 ‘자유적금’ 방식입니다.
- 변경 방법:
- 가입한 은행의 모바일 앱(App)이나 인터넷뱅킹에 로그인합니다.
- [예금/적금] → [청년도약계좌] → [자동이체 변경] 메뉴로 이동합니다.
- 이번 달에 납입할 금액을 자유롭게 변경하거나, 자동이체를 잠시 해지할 수도 있습니다.
- 주의사항:
- 월 납입액 변경은 자유롭지만, 가입 시 설정한 ‘월 최대 납입 한도(40/50/60/70만원)’ 자체는 변경이 불가능합니다.
- 정부기여금은 내가 실제로 납입한 금액을 기준으로 지급되므로, 적게 내면 기여금도 줄어듭니다.
청년도약계좌 금액 계산 (정부기여금 기준)
청년도약계좌 이자 계산의 핵심은 ‘은행 이자‘와 ‘정부기여금’입니다. 특히 정부기여금은 ‘직전년도 총급여’ 기준에 따라 매칭 비율이 달라집니다.
| 직전년도 총급여 (소득 기준) | 월 납입 한도 | 매칭 비율 | 월 최대 정부기여금 |
| 2,400만원 이하 | 40만원 | 6.0% | 24,000원 |
| 3,600만원 이하 | 50만원 | 4.6% | 23,000원 |
| 4,800만원 이하 | 60만원 | 3.7% | 22,200원 |
| 6,000만원 이하 | 70만원 | 3.0% | 21,000원 |
| 7,500만원 이하 | 70만원 | 0% (비과세만 적용) | 0원 |
💡 2025년 개편!
2025년부터는 모든 소득 구간에서 월 70만원까지 납입이 가능하도록 변경되었습니다. 단, 정부기여금은 위 표의 ‘기본 매칭한도’까지만 최대 비율로 지급되고, 초과 납입액(최대 70만원까지)에 대해서는 3.0%의 비율이 일괄 적용됩니다.
5년 만기 시, 금액별 이자 및 만기수령액
청년도약계좌 계산기를 통해 금액별 이자와 만기수령액을 계산해 보았습니다. (은행 금리 연 5.4%, 정부기여금 이자 연 4.5% 가정 시)
| 월 납입액 | 소득 2,400만원 이하 | 소득 4,000만원 | 소득 5,500만원 |
| 40만원 | 약 2,895만원 | 약 2,868만원 | 약 2,862만원 |
| 50만원 | 약 3,598만원 | 약 3,572만원 | 약 3,565만원 |
| 60만원 | 약 4,302만원 | 약 4,275만원 | 약 4,268만원 |
| 70만원 | 약 5,005만원 | 약 4,976만원 | 약 4,969만원 |
어떤 금액을 납입하는 게 좋을까? (추천 전략)
1. 정부기여금 최대 효율 (가장 추천!)
- 추천: 내 소득 기준의 ‘기본 매칭한도’ 금액만큼만 납입하는 방법
- 예시: 연소득 2,400만원 이하는 월 40만원, 연소득 3,600만원 이하는 월 50만원 납입
- 이유: 최소한의 금액으로 최대의 정부기여금(6.0%, 4.6%)을 받을 수 있어 효율이 가장 좋습니다.
2. 5천만원 만들기 (최대 납입)
- 추천: 소득 기준과 상관없이 무조건 월 70만원 납입
- 이유: 정부기여금 매칭 비율은 낮아지더라도, 납입 원금 자체가 크기 때문에 은행 이자와 비과세 혜택을 극대화하여 최대 만기수령액(약 5,000만원)을 만들 수 있습니다.
마무리하며
지금까지 청년도약계좌 금액 변경 방법과 금액별 이자 계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핵심은 월 납입 금액 변경은 자유롭지만, 정부기여금을 최대로 받으려면 내 소득 기준에 맞는 금액을 납입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점입니다.
2025년 12월이면 신규 가입이 마감되니, 청년도약계좌 계산기로 내 혜택을 확인해보고 마지막 기회를 꼭 잡으시길 바랍니다.
자주묻는 질문 (FAQ)
청년도약계좌 계산기로 계산한 금액이 실제 만기수령액과 다를 수 있나요?
네, 다소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계산기는 가입 시점의 은행 이자율(금리)과 정부기여금 기준으로 만기수령액을 ‘예상’하는 것입니다. 은행 이자율은 3년 고정 후 2년은 변동금리가 적용되고, 1년 주기로 소득 심사를 다시 하여 정부기여금 비율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5년을 못 채우고 ‘만기해지’가 아닌 ‘중도해지’하면 어떻게 되나요?
청년도약계좌를 3년 이상 유지하고 중도 해지할 경우, 정부기여금의 60%가 지급되고 비과세 혜택도 유지됩니다. 하지만 3년 미만 유지 후 해지하면 정부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은 원칙적으로 받을 수 없고, 은행 이자만 받게 됩니다. (단, 특별중도해지 사유 해당 시 예외)
청년희망적금 만기해지 후, 그 금액을 청년도약계좌에 한 번에 넣을 수 있나요?
네, ‘일시납입’ 방식으로 가능합니다. 청년희망적금 만기해지 금액(최대 1,260만원)을 청년도약계좌에 한 번에 납입한 후, 남은 42개월간 월 70만원씩 추가 납입하면 최대 만기수령액이 약 5,056만원으로, 신규 가입자보다 약 55만원의 추가 수익이 발생합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