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간 5천만원 목돈 만들기”로 불리는 청년도약계좌 조건! 무직(백수) 상태인데 청년도약계좌 가입이 가능한지 궁금하셨나요? 2025년 12월 마지막 가입을 앞두고, 헷갈리는 자격 조건을 제가 직접 알아봤습니다.
2025년 12월 가입 마감! 지금 바로 내가 대상인지 확인하세요.
핵심 질문: 무직(백수)도 가입 가능할까?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작년에 소득이 있었다면, 지금 무직(백수)이어도 가입 가능합니다.”
청년도약계좌 조건의 핵심은 ‘현재’ 소득이 아니라, ‘직전 과세기간(2024년)’의 소득입니다.
- 가입 가능 (O): 2024년에 아르바이트, 단기 근로, 프리랜서 활동 등으로 국세청에 소득이 신고된 이력이 있다면, 2025년 현재 무직(백수) 상태라도 신청할 수 있습니다.
- 가입 불가 (X): 2024년에 소득이 전혀 없었던 ‘완전 무직(백수)’ 상태였다면, 아쉽게도 2025년에는 가입이 불가능합니다.
2025년 청년도약계좌 조건 (총정리)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려면 아래 3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1. 연령 조건
- 만 19세 ~ 34세 이하 청년 (신청일 기준)
- (병역 이행 시 최대 6년까지 연령 계산에서 제외)
2. 개인소득 조건 (2024년 기준)
- 총급여 7,500만원 이하 (종합소득금액 6,300만원 이하)
- 단, 육아휴직급여나 군 장병급여만 있는 경우에도 가입이 가능합니다.
3. 가구소득 조건
-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250% 이하 (2024년 3월부터 완화)
| 가구원 수 | 기준 중위소득 250% (2024년 기준) |
| 1인 가구 | 월 557만원 (연 6,685만원) |
| 2인 가구 | 월 921만원 (연 1억 1,047만원) |
| 3인 가구 | 월 1,179만원 (연 1억 4,143만원) |
| 4인 가구 | 월 1,432만원 (연 1억 7,189만원) |
청년도약계좌 신청 기간 (2025년 12월 마감!)
청년도약계좌는 2025년 12월까지만 신규 가입을 받습니다.
- 신청 기간: 매월 초 (약 10~15일간) 신청을 받습니다. (예: 11월 3일 ~ 11월 14일)
- 마지막 신청: 2025년 12월이 신규 가입 마지막 기회입니다.
- 신청 방법: 11개 취급 은행 (국민, 신한, 우리, 하나, 농협, 기업 등)의 **모바일 앱(App)**을 통해 비대면으로 신청합니다.
가입 후 무직(백수)이 되면 어떻게 되나요?
가입 심사를 통과한 후, 회사를 그만두거나 소득이 없어지더라도 계좌는 자동으로 유지됩니다.
- 계좌 유지: 무직(백수)이 되어도 5년 만기까지 계속 납입할 수 있습니다.
- 정부기여금 중단: 단, 정부기여금은 ‘소득’에 비례하여 지급되므로, 소득이 없는 기간에는 정부기여금이 지급되지 않습니다. (가입 1년 주기로 소득 재심사)
마무리하며
지금까지 청년도약계좌 조건, 특히 무직(백수) 상태에서의 가입 가능 여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핵심은 ‘현재’가 아닌 ‘작년’의 소득이 중요하다는 점입니다. 2025년 12월이면 신규 가입이 마감되니, 5천만원 목돈 마련의 마지막 기회를 놓치지 마시길 바랍니다.
자주묻는 질문 (FAQ)
저는 2024년에 아르바이트를 잠깐 했는데, 무직 청년도약계좌 신청이 가능한가요?
네, 가능합니다. 2024년에 단 하루를 일했더라도, 고용주가 국세청에 소득 신고를 했다면 무직 상태여도 청년도약계좌 신청이 가능합니다.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에서 자가진단을 통해 대상 여부를 미리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가입하고 나서 바로 퇴사(무직)해도 되나요?
네, 괜찮습니다. 가입 심사는 직전년도 소득을 기준으로 하므로, 가입이 완료된 후 무직(백수)이 되더라도 계좌는 정상적으로 유지됩니다. 다만, 다음 해 ‘유지심사’ 시 소득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그 기간에는 정부기여금이 지급되지 않습니다.
청년희망적금 만기가 곧 다가오는데, 청년도약계좌로 환승할 수 있나요?
네, 가능합니다. 청년희망적금 만기 해지자는 청년도약계좌로 ‘일시납입’ 방식의 연계 가입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2025년 12월이 마지막 기회이니 만기 예정이라면 꼭 확인해보세요.



댓글 남기기